class Solution {
public String solution(String bin1, String bin2) {
String answer = "";
int num1 = Integer.parseInt(bin1, 2);
int num2 = Integer.parseInt(bin2, 2);
int sum = num1+num2;
answer = Integer.toBinaryString(sum);
return answer;
}
}
parseInt가 단순 String 타입을 int 값으로 parse해주는 건줄 알았는데 parseInt(String 문자열, int 진수) 을 넣어주면 진수인 문자열 값을 십진수 int타입으로 반환해준다. bin1, bin2는 이진수이기 때문에 2를 넣어줬다.
- toBinaryString(int i)
십진수를 이진수로 바꾸어 String 타입으로 반환한다.
num1, num2에 이미 십진수로 변환한 값을 담아줬기 때문에 toBinaryString을 사용해 이진수를 반환하도록 만들어 봤다.
문자열 길이가 10이길래 하드코딩을 할까 하다가 뭔가 메소드가 있을 것같아서 찾아봤더니 정말 있길래 제법 편하게 구현했다.
'Algorithm > 프로그래머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Lv. 0 ] 7의 개수 (0) | 2023.04.11 |
---|---|
[Lv. 0] 소인수분해 (0) | 2023.04.10 |
[Lv. 0] 숨어있는 숫자의 덧셈 (2) (0) | 2023.04.06 |
[Lv. 0] 가까운 수 (0) | 2023.04.04 |
[Lv. 0] 진료 순서 정하기 (0) | 2023.04.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