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일종의 형식. HTTP 규약에 맞게 요청을 보냄
즉, 어떤 URI에 어떤 메소드를 사용해 요청을 보낼지.
API : SW가 다른 SW로부터 지정된 형식으로 요청, 명령을 받을 수 있는 수단
REST 형식: 각 요청이 어떤 동작이나 정보를 위한 것인지를 요청의 모습 자체로 추론 가능함.
URI: 자원을 구조화 함께 나타내는 형식의 구분자, 명사 사용
- GET : 데이터 조회에 사용
- POST: create. 새로운 정보 추가에 사용
- PUT: 정보를 통채로 갈아 끼울 때
- PATCH: 정보 중 일부를 특정 방식으로 변경할 때 사용
- DELETE : 정보 삭제
'etc > 얍'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상후기/얄팍한 코딩사전] 쿠키, 세션, 캐시가 뭔가요? (0) | 2023.05.20 |
---|---|
[영상후기/ 얄팍한 코딩사전] 비동기 프로그래밍이 뭔가요? (0) | 2023.04.03 |
[영상후기/ 얄팍한 코딩사전] 객체지향 디자인패턴2 (1) | 2023.04.03 |
[영상후기/쉬운코드]프로세스, 스레드, 멀티태스킹, 멀티스레딩, 멀티프로세싱, 멀티프로그래밍 (0) | 2023.03.14 |
[영상후기/쉬운코드] 백엔드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database) 기본 개념을 설명 (0) | 2023.03.13 |
댓글